728x90
반응형
도량석 (道場釋)
사찰에서 새벽 예불 전에 도량을 청정하게 하기 위하여 행하는 불교의식.
도량은 모든 불보살이 성도(成道)를 얻은 곳, 또는 성도하려고 수행하는 곳을 말한다. 중국에서는 수나라 양제(煬帝)의 조칙에 따라서 사원을 도량이라 불렀고, 우리나라의 경우 사찰을 도량이라고 하였다.
이와 같이, 도량을 청정하게 한다는 의미로 아침 일찍 도량 곳곳을 돌면서 신묘장구대다라니(神妙章句大陀羅尼)·사방찬(四方讚)·도량찬(道場讚)·참회게(懺悔偈)를 목탁을 치면서 창하고 돌아다니는 의식을 도량석이라고 한다. 또한, 나무아미타불·관세음보살 등의 염불을 창하면서 도량 안을 돌기도 하고, 『금강경(金剛經)』 등 짧고 훌륭한 조사(祖師)들의 게송(偈頌)을 염송하기도 한다. 사찰의 하루 일과 중 도량 최초의식으로서 도량을 맑게 하고, 모든 잡귀를 몰아낸다는 뜻이 담겨 있다. 일반적으로 새벽 3시에 도량석을 마친 뒤에 법당에서의 아침예불로 사찰의 하루 일과가 시작된다. 그리고 도량석과 아침예불을 마치기 전까지는 사찰 내에서 묵언을 해야 한다.
사찰에서 인시(새벽3~5시)가 되었을 때 목탁을 치며 사찰 곳곳을 돌아 도량의 호법성중과 대중스님 및 일체중생에게 기상시간을 알려 혼미한 정신을 물리치게 하고, 도량의 정토화로 일체중생이 성불하기를 염원하는 의식을 말한다. 즉, 사찰에서 새벽예불을 올리기 전에 도량을 깨끗하게 하기 위해 치르는 의식을 말한다. 도량석(道場釋)은 도량석(道場夕) 또는 목탁석(木鐸釋)이라고도 한다. 대부분의 사찰은 새벽 3시에 도량석을 돈다. 목탁을 두르리며 경내를 돌면서 신묘장구대다라니와 사방찬, 도량찬, 참회게 등을 읊거나 나무아미타불이나 관세음보살을 염불하기도 한다. 또 <금강경> 구절이나 조사들의 게송을 외우기도 한다. 도량석은 다양한 의미를 갖고 있다. 도량을 깨끗하게 한다는 의미 뿐만 아니라 잠들어 있는 천지만물을 깨우며 일체중생을 미혹에서 깨어나게 한다는 의미를 갖고 있다. 또 맺힌 것을 푼다는 의미도 갖는다. 도량석을 돌때는 약한 음에서 차츰 높은 음으로 올라갔다 다시 내렸다가 올리는 것을 반복한다. 일체중생이 갑작스런 목탁소리에 깜짝 놀라서 깨지 않고 천천히 깨어나게 하기 위해서다. 도량석이 끝날 무렵에는 법고와 목어, 범종, 운판 등 사물(四物)을 치게 된다. 이와 함께 모든 대중스님들은 법당에 모여 새벽예불을 올린다. 인도에서는 석장(錫杖)을 울리며 돌았지만 이후에는 방울이나 요령 등이 사용되다 점차 목탁으로 바뀌게 된 것으로 전해진다. 인도에서는 현재 도량석 의식이 없고 문헌자료도 전해지지 않아 인도보다는 중국에서 생겼을 가능성이 더 높은 것으로 보인다. 박인탁 기자
[불교신문 2114호/ 3월23일자]
도량석에는 어떤 의미가 담겨 있나
하루의 시간중 대우주의 기(氣)가 가장 충만한 때가 새벽시간이다. 그래서사찰에서는 인간의 신체와 우주의 원리를 잘 맞추어 저녁 9시에 취침에 들어 새벽 3시에 일어나 활동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천지만물이 고요와 적막속에 빠져있는 첫새벽의 목탁소리는 유정(有情) 무정(無情)의 일체생명들이 미망에서 깨어나도록 법음을 전한다.이를 도량석(道場釋)이라 하며 새벽예불에 앞서 행하는 의식이다. 도량이란불도를 닦는 또는 불교의 갖가지 의식을 행하는 깨끗한 마당을 의미한다.그러므로 도량석은 ‘도량을 푼다’ ‘도량을 정화한다’는 의미가 있다.도량석을 하는데 있어서 목탁을 갑자기 치지 않고 서서히 약한 음에서 높은음으로 올렸다가 내리기를 반복하는 까닭은 모든 생명들이 놀라지 않고 깨어나게 하기 위한 것이다.도량석은 선종에서 중국 스님들이 석장(錫杖)를 짚고 다닌데서 유래했다고한다. 그래서 도량석의 석(釋)자를 석장의 석(錫)자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도량석이 부처님 생존 당시에도 행해졌다는 문헌적 자료는 없지만 당시에 새벽일찍 일어나 탁발을 다녔던 것이 중국에 들어와서는 탁발대신 도량석으로대신하지 않았나하는 생각이 든다.대개 도량석때에는 아주 큰 목탁을 어깨에 걸고 〈천수경〉을 암송하거나의상대사의 〈법성게〉 혹은 이산혜연선사의 <발원문〉 승찬스님의 〈신심명〉 등을 합송하며 도량 구석구석을 돈다. 도량석의 진정한 의미는 단순한의식행위에 있는 것이 아니다.〈천수경〉의 마지막 발원문에서 보이듯 맹세코 중생을 위해 살며 번뇌를다 끊고 법문을 배워 불도를 다 이루어 이세상을 불국정토로 만들겠다는 깊은 의미가 있는 것이다.이 도량석이 끝날 무렵에는 법고 목어 운판 범종을 차례로 치며 그 사이에절안에 있던 모든 대중들이 모여 아침예불을 올리고 청정한 마음으로 하루를 시작하게 된다. 그러므로 도량석은 사찰생활의 하루시작을 알리는 신호임과 동시에 밤새도록 얽히고 매였던 마음의 번뇌를 푸는 의미가 담겨 있다.
< 한장의 불교신문 한사람의 포교사 >
도량석이란 무엇인가?
새벽 예불에 앞서 행하는 의식이다.
※도량이란?
불도를 닦는 또는 불도의 갖가지 의식을 행하는 깨끗한 마당을 의미 한다. 도량을 푼다 또는 맺힌 것을 푼다는 의미를 갖고 있다.
하루의 시간 중에서 사람의 정신이 가장 맑을 때가 새벽 시간이며 수면을 통해 피로했던 심신이 새로워진 탓도 있지만 어둠이 가시고 밝음이 퍼져가는 새벽은 대우주의 기가 가장 충만해 있기 때문이다.
천지 만물이 깊은 잠에 빠져있는 첫 새벽의 목탁소리는 잠들어 있는 유정.무정의 일체 생명체들이 법음을 듣고 미망에서 깨어나라고 각성을 촉구하는 뜻이 담겨있다.
도량석을 할 때 목탁을 갑자기 치지않고 서서히 약한 음에서 높은 음으로 올렸다가 내리기를 반복하는 까닭은 모든 신들이나 생명 있는 것들이 놀라지 않고 깨어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도량석 의식절차
도량석(道場釋)은 사찰의 일과에서 가장 먼저 이루어지는 의식이다. 도량을 청정하게 한다는 뜻과 함께, 잠들어 있던 천지 만물을 깨우며 일체 중생들을 미혹에서 일깨운다는 의미를 지닌다. 도량석이 행해지는 자시(子時)에는 하늘의 기운이 열리고, 축시(丑時)에는 땅의 기운이 열리며, 인시(寅時)에는 사람의 기운이 열린다고 한다. 천지인(天地人) 삼재(三才)가 열리는 때에 잠자는 뭇 생명을 깨운다 하여 풀 석(釋)자를 써서 도량석(道場釋)이라 하는 것이다.
도량석은 일반적으로 새벽 3시에 시작하는데 상황에 따라 4시나 5시에 하기도 한다. 드물게는 가장 어른 스님께서 직접 도량석을 집전하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행자나 부전스님이 담당한다. 도량석을 집전하는 스님은 미리 일어나 채비를 마치고 법당의 청수를 올리고 초를 켠다. 정해진 시간에 맞추어 법당 앞에 서서 목탁(木鐸)을 세 번 오르내린다. 시계방향으로 도량을 두루 돌면서 목탁을 치고 경문과 게송을 독송한다. 목탁소리의 울림은 최소한 작게 시작하여 점차 크게 올리는데, 이것은 일체 중생이 갑자기 놀라지 않고 천천히 깨어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도량석 의식에서는 가장 먼저 정구업진언(淨口業眞言), 개경게(開經偈), 개법장진언(開法藏眞言)을 왼다. 또는 오방내외안위제신진언(五方內外安慰諸神眞言)을 외기도 한다. 의식에서 ‘말’이라는 수단을 이용하기 때문에, 말을 하는 ‘입(口)’을 먼저 청정하게 해야 한다. 이러한 목적에서 정구업진언은 자신의 구업을 청정하게 만든다는 의미를 지닌다. 개경게 및 개법장진언은 경전 또는 다라니 등을 독송하기 전에 독송한다. 이는 경문 독송을 통해 부처님의 높은 가르침을 다 알아들을 수 있기를 바라는 기원이자, 부처님 가르침의 창고에 이르러 그 창고의 문을 열어 젖힌다는 의미를 지닌다.
도량석에 쓰이는 진언이나 다라니 경문은 사대주(四大呪)와 천수경(千手經), 화엄경약찬게(華嚴經略纂偈), 반야심경(般若心經), 해탈주(解脫呪), 의상조사법성게(義湘祖師法性偈) 등이다. 스님에 따라서 계초심학인문(誡初心學人文), 발심수행장(發心修行章), 참선곡(參禪曲) 등을 독송하기도 한다.
도량석 의식이 이루어지는 동안 절 안의 대중은 기상하여 세면을 하고, 법당에 들어가 불전에 삼배를 드리고 자리에 앉는다. 도량석 의식이 끝날 무렵 소종(小鐘)을 타주하며 종송(鍾頌) 의식을 행하고, 이를 이어받아 곧바로 사물(四物: 법고·범종·목어·운판)을 차례로 친다. 이윽고 법당에 대중이 모인 가운데 불보살을 향한 본격적인 예경의식을 시작한다.
반응형
'松泉, 인생글, 바라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RCMS, 자계좌이체, 인건비, 범용 공인인증서 갱신, 신한은행, 2024, 5초만에 해결하기 (9) | 2024.06.27 |
---|---|
바라보기, 찾기, 奇經八脈, 기경팔맥, 十二經脈, 십이경맥 (25) | 2024.06.25 |
바라보기, 세일즈포스, 슬랙, 타블렛, 나타나, 김범수, 나는 가수다 (26) | 2024.06.20 |
바라보기, 영화, Inside out 2, 인사이드 아웃 2 (33) | 2024.06.19 |
바라보기, 찾기, webhook, 웹훅 (16) | 2024.06.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