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바라보기, 좋은글, 四字小學, 사자소학, 5초만 투자하기

#小學
#소학
8세 안팎의 어린 아이들 또는 유교 입문자에게 초보적인 유교 학문을 가르치기 위하여 만든 수신서(修身書). 현대로 치자면 유치원생이나 초등학생을 위한 교과서로 볼 수 있겠다.
송나라의 대학자 주자가 엮은 것이라 되어있지만 실은 그의 제자 유자징이 주자의 지시에 따라 편찬한 것이다. 내용은 일상생활의 예절, 정신 수양을 위한 격언, 충신과 효자의 사적 등을 모아 놓았다. 이 소학을 네 글자씩 묶은 것으로 사자소학이 있다. 서당에서는 천자문, 동몽선습, 명심보감, 통감절요 다음으로 배웠다. 조선시대의 김굉필, 조광조, 조식 등은 소학을 매우 중시했다.
일본이 대학과 마찬가지로 초등학교(일본명은 소학교)를 번역할 때 이 경전 이름을 차용하였다.-나무위키
소학(小學, 영어: lesser learning)은 1187년에 완성된 중국 송나라의 유자징이 지은 수양서[1]이다. 유교 교육기관에서 사자소학(四字小學)[2]의 형태로 한자 교육에 널리 활용되었다..
-위키백과
책명 중국 송나라의 유자징(劉子澄)이 주희의 가르침으로 지은 초학자들의 수양서. 쇄소(灑掃)ㆍ응대(應對)ㆍ진퇴(進退)의 예법과 선행(善行), 가언(嘉言), 수신 도덕의 격언, 충신ㆍ효자의 사적(事績) 따위를 고금(古今)의 책에서 뽑아 편찬하였다. 1187년에 완성하였다. 6권 5책.
#입문자 위한 동양고전
#주해천자문
#사자소학
#계몽편
#동몽선습
#격몽요결
#명심보감
#추구
#동양고전해제집
#중급자를 위한 동양고전
#고문진보전집
#고문진보후집
#당시삼백수
#목민심감
#소학집주
#장자
#정경
#통감절요
#한비자집해
#논어집주
#맹자집주
#대학장구
#중용장구
#모의정의
#고급자를 위한 동양고전
#공자가어
#국어
#근사록집해
#노자도덕경주
#당송팔대가문초구양수
#당송팔대가문초소순
#당송팔대가문초소식
#당송팔대가문초소철
#당송팔대가문초왕안석
#당송팔대가문초유종원
#당송팔대가문초중공
#당송팔대가문초한유
#당육선공주의
#동래박의
#묵자간고
#사마법직해
#삼략직해
#설원
#손무자직해
#손자수
#순자집해
#심경부주
#안씨가훈
#양자법인
#역대군감
#오자직해
#울료자직해
#육도직해
#이위공문대직해
#자치통감강목
#전국책
#정관정요집론
#대학연의
#시경집전
#서경집전
#주역전의
#춘추좌씨전
#예기집설대전
#논어주소
#주역정의
#상서정의
#예기정의
#효경주소
#사단법인전통문화연구회
반응형
'松泉, 인생글, 바라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라보기, 언어, 인물, 원민지, Cellist, 첼리스트, 예술의 전당, 공연 (5) | 2025.03.22 |
---|---|
바라보기, 책, 1인 대기업, 정도전 (3) | 2025.03.22 |
바라보기, 같은곳 다른시간, 선릉, 25 (21) | 2025.03.22 |
째려보기, 좋은글, 통계, 국가지표체계, 국가발전지표, 한국의 사회지표, 국민 삶의 질 지표, 5초만 투자하기 (1) | 2025.03.22 |
바라보기, 좋은글, 인생글, Children's Learning in Dream, 童蒙先習 에서 무엇을 배울 수 있을까? (2) | 2025.0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