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바라보기, 찾기, 중국군 각영의 영병 수목, 도지휘동지, 도지휘첨지
#선조실록 34권, 선조 26년 1월 11일 병인 16번째기사 1593년 명 만력(萬曆) 21년
#중국군 각영의 영병 수목
#도지휘동지
#종2품으로 각 성에 두명밖에 없는 고위직
#도지휘첨사
#都指揮僉事
#정3품
#위소
#명나라에서 국경이나 내륙의 전략적 요충지에 설치한 지방 군사 기구.
명나라는 대도독부-도지휘사사-위·소로 연결되는 군사 제도를 운영하였는데, 위소는 도지휘사사에 예속된 하급의 지방 군사 기구이다.-위키 신록사전
명을 건국한 태조(太祖)홍무제(洪武帝)는 새로운 군사 제도를 시행하여 중앙에는 최고의 군사 기구인 대도독부를 두고 전국 18행성(行省)의 군사를 지휘하는 도지휘사사를 관할하게 하였다. 행성은 조선의 도에 해당한다.
도지휘사사는 도사(都司)로 줄여 부르기도 하였는데, 각 성에 설립된 최고 군사 기구의 성격을 가졌으며, 군정 합일 기관이라 할 수 있다. 1380년(명 홍무 13년) 대도독부는 다시 중·좌·우·전·후군의 오군도독부(五軍都督府)로 체계화되었고, 각 성(省)은 도사 아래에 위소(衛所)를 두어 관할하였다. 명나라에서 조선에 보낸 칙서에는 ‘도부(都府)는 나라의 군정(軍政)을 관장하고, 도사(都司)는 한 방면(方面)을 제어하며, 위소(衛所)와 변위(邊圍)가 각기 믿을 만한 땅에서 마음을 다하고 힘을 다해 국가를 방위한다’고 하고 있다(『세종실록』 7년 2월 25일).
위소는 수당(隋唐) 시대의 부병제(府兵制)를 기초로 하여 원(元)나라 때부터 시행되었지만, 명나라에 와서야 발전하였다. 1위는 지휘사(指揮使)가 관할하는 5개의 천호소로 구성되었으며, 천호소마다 천호 1인씩을 임명하였다. 1384년에 전국의 각 군사 요충지에 위를 설립한 것을 시작으로 국경이나 내륙의 전략적 요충지에 약 5백여 개의 위소가 배치되었다.
조선과 밀접한 관계를 가졌던 요동도사(遼東都司)를 보면, 1387년을 전후해서 기존의 부·주·현을 모두 폐지하고, 이를 대신하는 다수의 위소를 설립하기 시작하였다. 『요동지(遼東志)』에는 총 25개의 위가 요동도사에 소속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요동도사와 위소는 관할 지역의 군사·행정·감찰·경제·법률·교육·징세 등의 모든 권한을 가지고 있었다.
한편 명나라에서는 이주해 온 조선인 등을 정착·안정시키고 회유하면서 관할하기 위해 위소를 설치하였는데, 그 대표적인 것이 동녕위(東寧衛)·삼만위(三萬衛)·해주위(海州衛)이다.
또한 몽골족과 여진족 등 이민족에 대해서도 위소로 편입하는 정책을 실시하였는데, 대표적인 것이 여진 지역에 설치된 건주위(建州衛)이다. 이것은 몽골족과 여진족을 회유하고 복속시켜서 위소체제에 편입하고 북방의 방어를 도모하려 한 것이었다. 이들 위소는 ‘외이위소(外夷衛所)’로 기록되어 있어서 기미위소(羈縻衛所)로 볼 수 있는데, 기미위소는 명나라에 종속되지 않았던 위소를 의미한다.
명의 최고 지방 정치 기구인 행성에는 군사를 관리하는 도지휘사사뿐만 아니라 민사를 관리하는 포정사(布政司), 형사를 관리하는 안찰사(按察使)가 있었으며, 이들을 합쳐 삼사(三司)라고 하였다. 도사에는 정2품인 도지휘사사 1명, 종2품인 도지휘동지(都指揮同知) 2명, 정3품인 도지휘첨사(都指揮僉事) 2명 등의 관직을 설치하고 위소 관리, 군사 훈련, 둔전 경영 등의 역할을 맡겼다. 도사 아래에는 위지휘사사(衛指揮使司)와 천호소·백호소(百戶所)를 두었으며, 위사에는 정3품인 지휘사(指揮使) 1명, 종3품인 지휘동지(指揮同知) 2명, 정4품인 지휘첨사(指揮僉事) 4명을 두고 업무를 분담하였다. 위지휘사사는 줄여 위사라고도 불렀다.
일반적으로 1위는 5,600명으로 구성하였고 지휘사 등이 관할하였다. 1위는 5개의 천호소로 구성되었으며, 각각 천호를 임명하였다. 1천호소는 1,120명으로 구성하였고, 10개의 백호소로 나뉘었으며, 1개의 백호소는 2개의 총기(總旗)로, 1개의 총기는 5개의 소기(小旗)로 구성되었다. 천호소에는 정5품인 정천호(正千戶), 종5품인 부천호(副千戶), 종6품인 진무(鎭撫) 등을 두고 업무를 분담하였다. 이 중 진무는 주로 군법과 형옥에 관련된 일을 맡았고, 백호(百戶)를 대신하여 사무를 처리하기도 하였다.
위소군(衛所軍)은 주로 징발된 자, 귀부한 자, 충군(充軍)한 자 등으로 구성되었다. 징발된 자에는 농민군이나 원나라에 반대하는 입장을 가지고 있던 군사 등이, 귀부한 자에는 주로 투항한 원나라 군사들이, 충군한 자에는 죄인이 주요한 구성원이었다. 그리고 타집군(垜集軍)이 있었는데, 이는 전국 각지에서 평민을 징발하여 군인으로 삼는 제도로 세습적으로 군적(軍籍)에 편입되었다. 명나라 때에는 민적(民籍)과 군적이 구분되었으며, 군적은 군호(軍戶)라 하였고, 군호는 기본적으로 세습되었다.
한편 여진 지역에 설치된 건주위를 포함한 모든 위소는 ‘외이위소(外夷衛所)’로 기록되어 있는데, 이것은 여진이 명나라에 종속되지 않았던 것을 의미한다. 실제로 여진 지역 위소와 명나라와의 정치·경제적 관계는 주로 조공과 마시(馬市)를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건주삼위는 명나라의 요동 정책에 협력하면서 조공과 마시를 통해 정치·경제적 이익을 얻었고, 경제적 이득이 없을 경우에는 명나라를 침입하여 사람과 가축을 노략하기도 하였다.
#선조실록 34권, 선조 26년 1월 11일 병인 16번째기사 1593년 명 만력(萬曆) 21년
#중국군 각영의 영병 수목
중국군 각영(各營) 영병(領兵)의 수목(數目)은 다음과 같다.
흠차 제독 계요 보정 산동 등처 방해 어왜 군무 총병관 중군 도독부 도독 동지(欽差提督薊遼保定山東等處防海禦倭軍務摠兵官中軍都督府都督同知) 이여송(李如松)의 표하 중군 원임 참장 도지휘 첨사(標下中軍原任參將都指揮僉事) 방시춘(方時春)이 통령(統領)하는 관하 친병(管下親兵)과 원임 참장(原任參將) 이영(李寧)이 거느리는 마병(馬兵) 1천 명, 흠차 관리 경략 중군 사무 중협 부총병 도독 첨사(欽差管理經略中軍事務中協副摠兵都督僉事) 양원(楊元)이 거느리는 군사 2천 명, 흠차 정왜 우영 부총병 서도독 첨사(欽差征倭右營副摠兵署都督僉事) 이여백(李如栢)이 거느리는 군사 1천 5백 명, 흠차 정왜 우영 부총병 도지휘사(欽差征倭右營副摠兵都指揮使) 장세작(張世爵)이 거느리는 군사 1천 5백 명, 협수 선부 동로 통령 영병 부총병 도지휘사(協守宣府東路統領營兵副摠兵都指揮使) 임자강(任自强)이 거느리는 선부 마병(宣府馬兵) 1천 명, 통령 요동 조병 원임 부총병 도독 동지(統領遼東調兵原任副摠兵都督同知) 이평호(李平胡)가 거느리는 마병(馬兵) 8백 명, 통령 남북 조병 원임 부총병(統領南北調兵原任副摠兵) 사대수(査大受)가 거느리는 마병과 보병(步兵) 3천 명, 통령 요동 원임 부총병(統領遼東原任副摠兵) 왕유익(王有翼)이 거느리는 마병 1천 2백 명, 진수 요동 동로 부총병 도지휘사(鎭守遼東東路副摠兵都指揮使) 손수렴(孫守廉)이 거느리는 마병 1천 명, 통령 보정 계진 조병 원임 부총병(統領保定薊鎭調兵原任副摠兵) 왕유정(王維貞)이 거느리는 마병 1천 명, 통령 창평 우영 병참장(統領昌平右營兵參將) 조지목(趙之牧)이 거느리는 마병 1천 명, 통령 계진 준화 참장(統領薊鎭遵化參將) 이방춘(李方春)이 거느리는 마병 1천 명, 의주위 진수 참장(義州衛鎭守參將) 이여매(李如梅)가 거느리는 마병 1천 명, 통령 요진 조병 참장(統領遼鎭調兵參將) 이여오(李如梧)가 거느리는 마병 5백 명, 요동 총병 표하 관령 이병 원임 참장(遼東摠兵標下管領夷兵原任將) 양소선(楊紹先)이 거느리는 마병 5백 명, 통령 남북 조병 탁주 참장(統領南北調兵涿州參將) 장응충(張應种)이 거느리는 마병 1천 5천 명, 통령 절직 조병 신기영 좌참장 도지휘사(統領浙直調兵神機營左參將都指揮使) 낙상지(駱尙志)가 거느리는 보병 3천 명, 통령 대령 영병 원임장(統領大寧營兵原任將) 장기공(張奇功)이 거느리는 마병 1천 명, 통령 산서영 원임 참장(統領山西營原任參將) 진방철(陳邦哲)이 거느리는 마병 1천 명, 통령 절병 유격 장군 도지휘사(統領浙兵遊擊將軍都指揮使) 오유충(吳惟忠)이 거느리는 보병 3천 명, 통령 선대 팔위 반병 유격 장군(統領宣大八衛班兵遊擊將軍) 송대빈(宋大贇)이 거느리는 마병 2천 명, 통령 남병 유격 장군(統領南兵遊擊將軍) 왕필적(王必迪)이 거느리는 보병 1천 5백 명, 통령 대동 영병 유격 장군(統領大同營兵遊擊將軍) 고책(高策)이 거느리는 마병 1천 명, 통령 절병 유격 장군(統領浙兵遊擊將軍) 섭방영(葉邦榮)이 거느리는 마병 1천 5백 명, 통령 산동 추반 경략 표하 어왜 방해 유격 장군(統領山東秋班經略標下禦倭防海遊擊將軍) 전세정(錢世禎)이 거느리는 마병 1천 명, 통령 가호 소송 조병 유격 장군(統領嘉湖蘇松調兵遊擊將軍) 척금(戚金)이 거느리는 보병 1천 명, 제독 표하 통령 대동 영병 유격 장군(提督標下統領大同營兵遊擊將軍) 곡수(谷燧)가 거느리는 마병 1천 명, 통령 선부 영병 유격 장군(統領宣府營兵遊擊將軍) 주홍모(周弘謨)가 거느리는 마병 1천 명, 통령 계진 우영 유격 장군(統領薊鎭右營遊擊將軍) 방시휘(方時輝)가 거느리는 마병 1천 명, 양하 유격 장군(陽河遊擊將軍) 고승(高昇)이 거느리는 마병 1천 명, 건창 유격 장군(建昌遊擊將軍) 왕문(王問)이 거느리는 마병 1천 명, 보정 유격 장군(保定遊擊將軍) 양심(梁心)이 거느리는 마병 1천 명, 진정 유격 장군(眞定遊擊將軍) 조문(趙文明)이 거느리는 마병 1천 명, 섬서 유격 장군(陝西遊擊將軍) 고철(高徹)이 거느리고 마병 1천 명, 산서 유격 장군(山西遊擊將軍) 시조경(施朝卿)이 거느리는 마병 1천 명, 통령 보진 건준 조병 유격 장군(統領保眞建遵調兵遊擊將軍) 갈봉하(葛逢夏)가 거느리는 마병 2천 명이다.
평양을 공격하여 함락시킬 때 4만 3천 5백 명을 썼고, 추가로 도착한 군사가 8천 명이다-선조실록 34권, 선조 26년 1월 11일 병인 16번째기사 1593년 명 만력(萬曆) 21년
중국군 각영의 영병 수목
반응형
'松泉, 인생글, 바라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라보기, 찾기, 太乙迷理掌, 태을미리장 (1) | 2024.11.27 |
---|---|
바라보기, 찾기, 조선의 품계 (2) | 2024.11.27 |
바라보기, 같은곳 다른시간, 선릉, 41, 하이쿠 (1) | 2024.11.27 |
바라보기, 같은곳 다른시간, 선릉, 40 (1) | 2024.11.27 |
바라보기, 찾기, 증시맵, finviz, 월스트리트 모닝브리핑, 11.27(수), 5분만 투자하기 (4) | 2024.1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