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라보기, 좋은글, 염화시중,염화미소,불립문자 와로 서로 사맞디 아니할세#세종어제 훈민정음 #世宗御製 訓民正音제(製)는 글 짓는 것이니 어제(御製)는 임금 지으신 글이라훈(訓)은 가르치는 것이고 민(民)은 백성이요 음(音)은 소리니훈민정음(訓民正音)은 백성 가르치시는 정(正)한 소리라훈민정음 언해, 월인석보 권1, 1459년(세조 5)-나무위키#훈민정음#訓民正音.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라는 뜻이다. '훈민정음'이라고 부르는 대상은 두 가지가 있는데, 그 하나는 1443년 음력 12월(양력 1444년 1월)에 세종대왕이 만든 한국어의 표기 체계, 즉 오늘날의 한글을 창제 당시에 부른 이름이고, 또 하나는 1446년 9월[1]에 발간된 책 이름이다. 여기서는 후자, 즉 '훈민정음'이라는 책을 설명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