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바라보기, 언어, 용어, Autoimmune disease, 自家免疫疾患, 자가면역 질환
Autoimmune disease.
자가면역질환이라고 알려진 일부 질병은 그 진위가 확실하지 않고
connective tissue disease라고 따로 부르기도 한다.
기본적으로 인간의 신체는 항상 다양한 미생물의 공격을 받고 있지만 그 안에는 면역세포라는 것이 항시 위력순찰을 돌고 있다. 강력한 미생물에게 공격받을 경우 비상경보를 울리고 전투력을 올리기도 하는데, 이것이 우리 몸에서 염증반응과 발열이 발생하는 주된 원인이다. 또한 감염된 부위라든지 이상세포분열로 인해 발생한 암세포 같은 것도 항상 면역세포가 사냥해주고 있다.
그러나 어떤 이유로 세균, 바이러스, 진균 등의 외부 침입자로부터 인체를 지켜야 할 면역세포가 엉뚱하게 인체(세포)를 공격하는 자가면역 상황이 발생하고, 이 때문에 발생한 질병을 자가면역질환이라 한다. 이론적으로 인체의 모든 장기와 조직에 걸쳐서 자가면역이 발생할 수 있다. 주로 증상이 나타나는 곳은 갑상선, 췌장, 부신 등의 내분비기관, 적혈구, 결체조직인 피부, 근육, 관절 등이 있다.
자가면역질환은 종류가 100가지가 넘으며, 정확한 원인을 모른다. 다만 대부분의 질환이 여러 가지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의 결합으로 발병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1] 그리고 일반적으로 여성의 발병 위험이 남성보다 크다. 미국의 자가면역질환 환자의 75%는 여성이라는 연구 결과가 있다. 여성의 면역력이 남성보다 월등한 반작용으로 그만큼 지나친 면역력이 자신을 해칠 확률이 큰 듯.[2]
루푸스의 경우 가족력이 66% 이상으로 유전적 요인이 크게 관련되어 있다. 하지만 이런 루푸스의 경우에도 일란성 쌍둥이에서 35% 정도의 발병 일치율을 나타내는 것을 보면 환경적 요인 또한 중요하다.
생활습관, 영양 상태, 주변 환경 등의 기본적인 환경적 요인 외에도 몇몇 박테리아와 바이러스[3]의 감염 경험, 약물 복용, 호르몬 변화, 흡연, 외상, 자외선 등도 관련 요인으로 많이 지목된다.[4]
자가면역질환에 해당하는 병
-
크론병: 발병률은 약 10,000명당 1명.
-
궤양성 대장염: 발병률은 약 1,000명당 1명.
-
루푸스(전신성 홍반성 루푸증)
-
쇼그렌증후군: 발병률은 약 1,000명당 7명.
-
중증근무력증: 발병률은 약 100,000명당 14.5명.
-
경피증
-
기쿠치병(조직구 괴사성 림프절염)[10]
-
교원병[11]
-
하시모토 갑상선염(갑상선기능저하증)
-
갑상샘 기능 항진증 : 발병률은 약 1.2%.
-
섬유근육통
-
원형탈모 - 흔히 말하는 남성형 탈모는 해당되지 않는다. 이게 악화되면 밑의 전신탈모까지 갈 수 있다.
-
다발경화증 - 발병률은 약 1,000명당 1~3명.
-
기립성 빈맥증후군[12]
-
자가면역성간염
-
자가면역성신장염 [13]
-
스틸병
-
성인형 스틸병
-
자가면역성췌장염
-
자가면역성 뇌염
-
자가면역성용혈성빈혈 - 몸속의 항체가 적혈구를 공격해 파괴하여 발생한다.
-
이관 개방증
-
스티븐스-존슨 증후군 - 발병률은 약 1,000,000명당 1명. 약물 복용 후 극히 드물게 발생한다.
-
길랑 바레 증후군 - 발병률은 약 100,000명당 1~2명. 엄연한 자가면역질환으로, 항체가 신경세포의 수초를 공격해서 발생한다.
-
사이토카인 폭풍 - 항원항체 반응 중 면역계의 폭주로 발생하는 질환.
-
천포창 - 피부와 점막에 수포가 나타나는 질환. 적절한 약물요법을 받지 않으면 2차 감염으로 인해 치사율이 80%에 이르는 매우 위험한 질환이다.[16]
-
람베르트-이튼 근무력증후군 - 주로 골반과 대퇴부 근육에 근쇠약을 야기하는 매우 희귀한 질환이다. 소세포폐암과 관련성이 높다.
인체 내부의 면역계가 외부 항원이 아닌 내부의 정상세포를 공격하여 생기는 질병을 말한다. 이를 게임에 비유하자면 팀킬과 비슷하다.
자가면역 질환은 세균, 바이러스, 이물질 등 외부 침입자로부터 내 몸을 지켜주어야 할 면역세포가 자신의 몸을 공격하는 병입니다. 자가면역은 인체의 모든 장기와 조직에 나타날 수 있습니다.
- Midwest: After being diagnosed with two autoimmune diseases, I was asked by my doctors to remove all of the additives from my diet.미드웨스트 : 두 가지의 자기면역 관련 질병이라는 진단을 받은 후 담당의사로부터 음식에서 모든 첨가제를 제거하라는 지시를 받았습니다.
- Measurement of Anti-GAD65 Autoantibodies in Patients with Type 1 Diabetes Mellitus with / without Autoimmune Thyroid Diseases자가면역성 갑상선 질환을 동반한 한국인 제1형 당뇨병 환자에서 항GAD65 항체의 측정
- Pancreas And Biliary Tract : Clinical Characteristics, Recurrence Features, and Treatment Outcomes of 55 Patients with Autoimmune Pancreatitis
자가 면역 질환(自家免疫疾患, autoimmune disease)은 자가 면역으로 나타나는 질병이다. 즉, 정상적인 화학 물질과 신체의 일부 세포들에 대해 면역계가 잘못된 반응을 일으킨 것이다. 바꾸어 말하면 면역반응이 실수를 한 것으로 건강한 세포를 해롭게 보고 그들을 공격한 것이다.[1]
자가면역질환은 다양한 림프구 중에 체내 자기자신의 분자와 반응하는 수용체를 가지는 림프구에 의해 나타나기도 한다. 즉, 이러한 자기반응성 림프구들이 제거되거나 불활성되지 않는다면 면역계는 결국 자신의 세포 또는 조직을 공격하게 될 것이다. 하지만 정상의 경우 림프구들이 골수에서 성숙되는 동안 자기반응성이 점검 되며 이러한 과정 동안 자기 분자에 특이적인 수용체를 가진 림프구들은 세포자살 (아폽토시스)에 의해 죽거나 무반응 세포로 변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비자기분자와 반응하는 림프구만 남게되고 이러한 과정을 자기관용기작(Self-tolerance)이라고 한다. 만약 자기관용기작이 정상적이지 못할 경우에는 류마티스 관절염과 같은 자가면역질환을 유발하게 된다. 자가 면역 질환에는 류마티스 관절염뿐만 아니라 1형 당뇨병(인슐린 의존성), 전신성 루푸스, 크론병, 건선 등이 있다.[2]
- 류마티스 관절염 - B세포가 생산한 항체가 연골조직과 뼈에 있는 단백질을 위험한 물질로 잘못 인지하여 이들을 파괴한다.
- 제1형 당뇨병(인슐린 의존성) - 췌장의 인슐린 분비세포가 T세포에 의해 파괴되어 나타나는 질병이다.
- 사이토카인 방출 증후군
- 다발성 경화증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