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째려보기, '가장 비쌌던 홍콩도 반값! 다음 차례는 한국‘ 정말 긴장해야 되는 시대..., 표영호 TV, 요약해 봄
#표영호 TV
#내용
#1. 홍콩 부동산 폭락 현상
#2. 한국 부동산 시장과의 유사성
#3. 주택 가격 비율(PIR)
#4. 한국과 중국의 자산 분포
#5. 중국 부동산 시장의 위기
#6. 한국의 부동산 거품 우려
#7. 부동산 시장의 위험 신호
홍콩 아파트 가격 폭락과 중국 부동산 시장의 침체는 한국 부동산 시장에도 경고를 던지고 있으며, 특히 서울 아파트 가격의 상승세가 지속될 경우 유사한 붕괴를 겪을 수 있음을 시사함.
트럼프발 관세 정책과 일본의 잃어버린 30년 사례를 통해, 무역 갈등과 자산 거품 붕괴가 경제에 미치는 심각한 영향에 대해 설명하며, 한국 역시 유사한 위험에 직면해 있음을 강조함.
따라서 현재의 상황에서는 섣부른 투자보다는 신중한 관망 자세가 필요하며, 위험 요소가 해소된 후 투자해도 늦지 않을...
#홍콩 아파트값 반토막…서울도 안전할까?
*홍콩 고급 아파트 가격, 전고점 대비 반토막
→ 200억 하던 아파트가 최근 100억에 거래됨
→ 2021년에 최고가에 산 사람은 큰 손실
*중국 본토 자금 이탈이 원인
→ 본토 부동산 침체로 현금 필요
→ 홍콩 아파트 대거 매도 중
→ 경쟁적으로 싸게라도 팔려는 분위기
*홍콩 정부, 대출 규제 완화·금리 인하 등 대책
→ 시장 반응은 미미
→ 소비 심리 회복 안 됨
#서울은 다를까?
*서울 강남권 아파트, P지수 57
→ 월급 안 쓰고 57년 모아야 집 살 수 있음
→ 재건축 연한 30년 넘겨도 못 살 수준
*가계 자산의 76%가 부동산
→ 중국(70%)보다 높음
→ 집값 하락 시 자산 급감 가능성
*중국은 집값 5% 하락 시 자산 3,500조 증발
→ 이미 중산층 자산 축소 → 소비·일자리 악영향
#일본처럼 될 수도 있다?
*한국, 일본 ‘잃어버린 30년’과 유사한 흐름
→ 고금리·저출산·저성장 구조
→ 부동산 의존도 높은 경제 구조도 닮음
*한국은 전세 대출까지 얽힌 복합 구조
→ 전세 시장 흔들리면 더 큰 위기 가능성
#결론
*“아파트만 오른다”는 착시
→ 무리한 추격 매수, 자산 붕괴로 이어질 수 있음
→ 중산층·서민층은 더 신중한 판단 필요
→ 홍콩·중국·일본 사례는 분명한 경고
#예전부터 위험하다고 했었던 것 같은데, 이제서야 실질적인 내용들이 나오는것인가?!
막았떤 둑에 물어 더 많이 불어서, 이제 더 크게 터지게 되는것인가?!
#지켜보는 수밖에...
반응형
'松泉, 인생글, 바라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라보기, 찾기, 해외 주식 매각, 양도소득세 신고 필요, 5월 종합소득세, 무식을 인지하며, 5초만 투자하기 (17) | 2025.04.08 |
---|---|
바라보기, 좋은글, 명언, Life is a tragedy, 인생은 비극이다, 찰리 채플린 (2) | 2025.04.08 |
바라보기, 시네도슨트, 팝아트가 보여준 현대, Docent, 안현배 미술학자, 씨즌1 마지막 (51) | 2025.04.07 |
째려보기, 대통령 탄핵 사건 선고, 헌법 재판소, 결정문, 내용 전문, 피청구인 대통령 윤석열을 파면한다. (4) | 2025.04.07 |
맛집, 내돈내산, 동지팥죽, 신당동 천팥죽, 재방문 (7) | 2025.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