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노무상담

찾아보기, 노무상담, 1년 미만, 1년, 1년 1일 후 퇴직하는 직원의 연차 휴가 갯수는?, 5초만에 해결하기 #찾아보기, 노무상담, 1년 미만, 1년, 1년 1일 후 퇴직하는 직원의 연차 휴가 갯수는?, 5초만에 해결하기  #1년 미만 후 퇴직 직원의 연차 휴가 갯수는? #1년 후 퇴직하는 직원의 연차 휴가 갯수는? #1년 1일 후 퇴직하는 직원의 연차 휴가 갯수는?   #근로기준법에 따라 종전의 행정 해석 변경된 행정해석#입사일 기준, 1년 근무 , 2021.1.1 ~ 2021.12.31까지 근무후 퇴직, 법률상 퇴직일 2022.1.1한 경우, 종전의 행적해석변경된 행정해석입사후 1년 미만 기간의 연차(월차)11일11일입사후 1년 근로관계 존속시 연차(80%이상 출근시)15일0일합계26일11일  #입사일 기준, 1년 1일 근무,  2021.1.1 ~ 2022.1.1까지 근무후 퇴직, 법률상 퇴직일 2022.1.. 더보기
찾아보기, 노무상담, 지각조퇴가 월3회인 경우 1일 결근으로 취급할 수 있나요? 찾아보기, 노무상담, 지각조퇴가 월3회인 경우 1일 결근으로 취급할 수 있나요? 취업규칙, 근로계약으로 정하더라도 지각·조퇴 월 3회 시 1일 결근으로 취급할 수는 없습니다. 다만, 취업규칙 등으로 정하여 지각·조퇴 누계 8시간이 되는 경우 연차휴가 1일을 공제하는 것은 가능합니다. 회사에서는 지각·조퇴를 방지하기 위해 취업규칙, 근로계약에 일정 횟수의 지각·조퇴 시 1일 결근으로 간주한다는 규정을 두는 경우가 있습니다.그러나 ‘결근’은 출근하지 않은 상태를 의미하므로 일정 횟수의 지각·조퇴가 결근이 될 수는 없습니다.또한, 5분씩 지각을 3회하였다고 일반적인 소정근로시간인 8시간 전체를 출근하지 않았다고 보는 것은 부당합니다.따라서 취업규칙, 근로계약에 일정 횟수의 지각·조퇴 시 1일 결근으로 간주한다.. 더보기
찾아보기, 노무상담, 임원에게도 연차휴가 부여해야 하나요?, 5초만에 해결하기 #찾아보기, 노무상담, 임원에게도 연차휴가 부여해야 하나요?, 5초만에 해결하기 #찾아보기, 노무상담, 임원에게도 연차휴가 부여해야 하나요? 임원은 근로기준법상 근로자가 아니기 때문에 연차휴가를 부여하여할 의무가 없습니다. 그러나 명목상 임원에 불과하여 실질적으로 근로자에 해당한다면 연차휴가를 부여하여야 합니다.  임원은 원칙적으로 근로기준법상 근로자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임원에게는 근로기준법에 따른 연차휴가제도가 적용되지 않습니다. 다만, 회사의 별도 정관 또는 임원의 대우에 관한 규정에 의해 임원에게도 휴가를 부여할 수 있을 것입니다(근기01254-22583, 1985. 12. 16.).그러나 명목상 임원에 불과할 뿐, 종속관계에서 근로를 제공하는 등으로 근로제공관계의 실질에 비추어 근로자에 ..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