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松泉, 인생글, 바라보기

바라보기, 언어, Sundaland, 순다랜드 대륙

반응형

바라보기, 언어, Sundaland, 순다랜드 대륙


 

Sundaland

선사 시대때 있었던 대륙으로 빙하기 이후 해수면이 높아지자 사라졌다. 기사

 

6만년 전, 인도네시아에 초기 인류가 있었다

초기 인류의 이동에 관한 연구는 각 지역 사람들의 모계 미토콘드리아 유전자 조사를 통해 간접적으로 이뤄진다. 화석 증거가 충분하지 않기 때문이다.모계 미토콘드리아의 유사도를 분석해 각

www.dongascience.com

 

순다랜드는 빙하기때 현재의 동남아시아 말레이 반도부터 인도네시아 수마트라 섬, 자바 섬, 보르네오 섬을 잇는 지역에 위치했을 것으로 생각되는 작은 대륙의 명칭이다. 빙하기에는 현대보다 해수면이 100m 아래에 위치해 오늘날에는 얕은 바다인 이 지역이 대륙으로 드러난 시기였다. 기사. 빙하기 시절 인류는 아프리카 대륙 중서부의 사하라 초원과 동남아시아의 순다랜드에 모여 살았으며, 이 때문에 이 지역들이 인류의 양대 거주지였을 것으로 추측된다. 이후 빙하기가 끝난 7,000~8,000년 전, 아프리카와 유럽 거주 인류의 출발점이 아프리카의 사하라 초원(현 사하라 사막) 지역이었다면, 동아시아인  남아시아인, 심지어 아메리카 원주민의 출발점은 순다랜드였을 것으로 학자들은 추측하고 있다.[1]

신화속 무 대륙의 원형을 순다랜드로 추정하는 학자들도 있다. 오늘날에도 그 지역 원주민들에게는 대홍수 설화가 남아 있다. 다만, 무 대륙 이야기는 현대의 날조에 가깝고, 대홍수 설화는 개나 소나[2] 갖고 있는 이야기라서, 이 부분은 논란이 많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