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라보기, 언어, 읽기, 논문 읽기
Title, Abstract, Introduction, Experimental, Results & discussion, Conclusion, References
Title, Abstract, Conclusion, Results & discussion (data), Introduction, Results & discussion (detail)
나는 이런 문제를 풀거야 (abstract)
사실 이 문제는 이런 동기에서 연구가 시작된건데 (introduction)
관련해서 이런저런 접근들이 있었지 (related works)
난 이런 새로운 방식으로 접근해보려고 하는데 (method)
정말 이게 잘 먹히는지 실험도 해봤어 (experiment)
이를 통해 이런 사실도 알아냈지만 한계점도 있지 (discussion)
마지막으로 귀찮은 너를 위해 요약 (conclusion)
https://gradschoolstory.net/terry/readingpapers/
우선 그 분야의 개략적인 연구들을 훑어보려면 관련 키워드와 함께 ‘review’, ‘survey’, ‘tutorial’ 등을 넣고 함께 검색해보면 좋다. 이들은 특정 문제를 푸는 일반 논문들과 달리, 관련 연구들을 종합하거나 (review), 조사하거나 (survey), 쉽게 설명하고 있다. (tutorial)
Google scholar
https://scholar.google.co.kr/schhp?hl=ko
- Abstract (초록): 넷플릭스나 영화 소개처럼 해당 연구 논문에 대한 간단한 설명을 포함합니다. 서론, 본론 (실험 및 결과), 결론을 각각 2-3 문장으로 쓰는 형태입니다. 일반적으로 영어 기준 200-300 단어로 작성을 합니다.
- Introduction (서론): 본 연구의 주제를 간략하게 소개 하고, 해당 주제에 대한 배경 지식을 짧게 요약합니다. 그리고 이 연구가 필요한 문제 의식 및 필요성을 제시합니다 (혹은 경우에 따라 해당 연구진이 했던 사전 연구 (이전 에피소드)를 잠깐 소개합니다. 마지막엔 “어떤 연구를 시도할 것이다"라는 식으로 마무리 합니다.
- Methods (방법): 연구에 사용한 방법을 요약합니다. 학술지마다 이를 기술하는 양식이 다릅니다. 어떤 학술지는 Methods를 논문의 마지막 부분(그러니까 참조문헌 뒤)에 작성하기도 합니다. 이 부분이 너무 길어지면 Supplementary document라는 별첨부록에 상세하게 기술합니다.
- Results (결과): “연구를 진행했더니, 나는 이걸 관찰했더라"를 기술합니다. 간략한 해석을 더하기도 합니다. 이 부분은 흡사 “연구 데이터가 연구자에게 말하고자 하는것?”에 해당합니다.
- Conclusion (결론): 위에 제시한 결과를 바탕으로 해석을 장황하게 사용합니다. 이 부분은 “연구자가 연구 데이터를 생각하는 방식”입니다. 그래서 주관적인 입장이 들어가기도 하고, 기존에 이뤄진 다른 연구들과 비교해서, 연구자들이 관찰한 연구 데이터를 바탕으로 본인들의 입장을 전달합니다.
- Reference (참조문헌): 논문을 작성할때 인용한 다른 연구들을 적습니다.
https://doctormom.tistory.com/13
'松泉, 인생글, 바라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라보기, 언어, 推仰, 추앙 (0) | 2023.08.05 |
---|---|
바라보기, 언어, 凌蔑, 능멸 (0) | 2023.08.05 |
바라보기, 노래, 깊은밤의 서정곡, 블랙홀 (0) | 2023.08.04 |
바라보기, 영화, 비공식작전, 김성훈 감독, 주지훈 배우, 그리고 하정우 배우, 메가토크, 백은하 배우연구소장 (0) | 2023.08.01 |
바라보기, 언어, hedgehog, (0) | 2023.07.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