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松泉, 인생글, 바라보기

바라보기, 찾기, Chartered Financial Analyst: CFA / 국제재무분석사

반응형

바라보기, 찾기, Chartered Financial Analyst: CFA / 국제재무분석사

 

 

 

 

 

 

 

국제재무분석사(Chartered Financial Analyst, CFA)는 미국 CFA institute에서 자격을 부여하는 재무분석사의 영어 명칭이다.-위키백과

 

 

 


 

 


 

CFA® FRM (국제FRM), CMA, CAIA, CIIA 등과 함께 민간자격증으로 규정하고 있다.

재무 분석에 대한 국제 자격증으로, 금융권 내에서 가장 어려운 난이도를 가진 시험으로 알려져있다. 문제 출제 및 자격증 부여는 미국 버지니아 주에 소재하고 있는 CFA Institute에서 주관하고 있다. 모든 교재 및 시험이 영어이므로 영어에 충분히 익숙해야 하며, 에세이 형식의 주관식 서술형 답안을 작성할 수 있을 정도의 영어 능력이 요구된다.

온라인 시험 전환 이후 합격률이 급감했으며, 비영어권인 우리나라의 경우는 합격률이 더 낮은 수준인 것으로 알려져있다. 레벨3 합격까지 통상 1000시간 정도의 시간을 공부해야 하며(사실 레벨1-3를 한 번에 통과한 합격자도 1000시간 초과는 훌쩍 넘는다는게 중론. 레벨3 공부시간만 500시간을 초과하는 응시생들이 허다하다.), 대부분의 수험생이 직업을 가진 상태에서 공부를 하므로 자기 생활을 꽤 오랜 시간 반납해야 한다.# 1차, 2차까지는 삼지선다여서 합격자와 불합격자의 점수 편차가 크지 않으며, 아차 하는 순간 떨어지는 시험이고 1년 더 공부한다고 해서 합격 확률이 그만큼 올라가는 것도 아니다.

CFA 보유자는 대한민국 자본시장법에 따라 적격투자자로 인정받으며, 각종 투자 한도가 확장되고 투자 실적 기준 등이 완화된다. 크라우딩 펀드 성공 기업들은 KSM 전매 제한이 사라지는 혜택도 누릴 수 있다.

CFA는 최근 ESG 투자 관련 인증 시험 패키지를 도입하였으며, KPMG, PwC 등 다양한 ESG 관련 컨설턴트 기업들이 현직자와 신규 입사자들을 대상으로 응시와 자격 취득을 적극적으로 독려하고 있다. 시험은 역시 영어로 치룰 수 있으며, 학습 자료 역시 영어이다.-나무위키

 

미국에서는 대공황,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주식 투자가 다시금 활발해졌으며, 이로 인하여 월스트리트를 중심으로 증권분석가들의 수도 늘어나게 되었다. 증권분석가들의 모임인 FAF(Financial Analysts Federation)가 1947년 설립되었다. 이 외에도 많은 지역에서 증권분석가 및 투자자들의 모임이 생겨났으며 특히 NYSSA(New York Society of Security Analysts) (현재 CFA Society of New York)에서 벤저민 그레이엄이 무분별한 증권 리포트의 남발과 수준이 떨어지는 증권분석가들을 비판하면서 이들을 위한 교육 및 자격증의 필요성을 역설하기도 했다.

FAF의 영향이 커짐에 따라 각지에 있던 증권분석가 모임은 FAF 산하에 통합되었으며, 이와는 별개로 1959년 증권분석가를 위한 자격을 부여하고자 하는 ICFA(The Institute of Chartered Financial Analysts)가 발족하였으며 1963년 총 284명이 응시한 최초의 CFA 시험이 시행되었다. 1990년 FAF와 ICFA가 통합하여 AIMR(The Association for Investment Management and Research)이 설립됨으로써 비로서 전국적인 증권분석가 모임 및 자격을 주관하기 위한 유일한 기관으로 자리잡았다. 2004년 AIMR은 CFA Institute로 명칭을 바꾸어 현재까지 이르고 있다.

최근에는 코로나의 대유행에 따른 여파와 낮은 합격률로 응시률이 급감했다.

 

기본적으로 대학교 학사 이상 혹은 그에 준하는 학위를 지닌 자만이 시험에 응시할 수 있다. 관련 실무 경력을 인정받으면 대학생 신분으로도 level 1~3까지 pass할 수 있으나, Charter는 유관 경력이 인정된 후에 받을 수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남자 대학생은 1학년 마치고 군 복무를 마치면 2학년부터 바로 응시가 가능하고, 여자 대학생은 군 복무 기간이 없으므로 4학년생이 되는 순간부터 응시가 가능하다. 대학 재적(在籍) 년수로 따져서 4년차부터 응시 자격을 주기때문에 그렇다. 물론 여대생도 1년 정도 휴학했다면 3학년부터 응시 가능. 2022년 CFA시험은 학부생은 졸업예정 월 전 11개월 이내의 시험 응시 또는 경력(직장 또는 군대)과 대학교 이수 학년을 모두 포함하여 36개월을 채우면 응시 가능하게 바뀌었다.

 

총 3개의 Level로 이루어진 시험을 모두 통과하고 48개월의 실무 경력이 있어야 이 자격증을 획득할 수 있다. 단, 꼭 시험을 통과하고 나서 경력을 쌓을 필요는 없다. 만약 실무 경력이 충분하다면 Level 3를 합격하고 심사를 거쳐서 바로 자격증이 주어진다. 반대로 시험을 아무리 빨리 합격한다 하더라도 경력이 부족하면 경력을 채울 때까지는 자격증을 받을 수 없다. 또한 경력이 쌓인 이후에 다른 CFA Charterholder 2인의 추천을 받아야 정식으로 자격증을 획득할 수 있다. 다만 회사의 보증 하에 자신의 직장 상사의 추천을 받아도 무방하다. 자격증을 획득한 사람은 'CFA Charterholder'라고 불리며 이 호칭을 자신의 명함 등에 공개적으로 작성할 수 있다.

따라서 CFA Level 1 또는 2만 통과한 사람은 자격을 취득하지 못한 상태이며 이 경우 CFA candidate라고 부른다. Level 1/Level 2를 붙고 나서 Level 2/Level 3를 준비하고 있다면 각각 CFA level 2 candidate/CFA level 3 candidate다. Level 3까지 모두 합격했다 하더라도 실무 경력을 못채웠거나 CFA 협회에 등록하지 않았다면 자신이 CFA Charterholder라는 것을 공개적으로 드러낼 수 없다. 다만 이와는 별개로 level 1, 2, 3 합격자들도 누릴 수 있는 제도적 이점이 존재한다.[2] CFA의 윤리 과목에서는 각 레벨의 시험 응시자 또는 통과한 응시자가 이력서 등에 해당 사항을 어떻게 기재해야 하는지에 대해 자세히 알려주고 있으니 참고할 것.

CFA 시험을 통과하고 나서 CFA 협회 회원 자격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매년 협회비를 내야 한다. 2019년 기준 CFA Institute에 지불해야 하는 회비는 275달러이며 각 지역 CFA 협회별 회비는 별도로 내야 한다. 예를 들자면 CFA 한국 협회의 경우는 입회비 없이 연 75달러이며, 뉴욕 CFA 협회 (CFA Society of New York)는 입회비 100달러에 연회비 250달러이다.

 


#Level1

 

Level 1은 Financial Market과 투자 상품에 대한 기본 지식을 습득하는 것이 목표이다.
  • Ethical and Professional Standards: CFA Charterholder 및 시험 응시생이 지켜야 할 윤리 규정. 그러나 사실 업계의 복잡한 사정이 얽혀 윤리규정 자체가 귀에 걸면 귀걸이 코에 걸면 코걸이.[4][5] 인 상태이기 때문에 응시생들에게 가장 짜증나는 과목으로 통한다. 어지간했으면 CFA 응시생들 사이에서 "윤리는 그냥 상식적으로 고르고 운에 맡기는 것" 이라는 말까지 있을 정도. 일반적으로 윤리 과목은 레벨 1~3에서 모두 약 10-15% 정도의 비중을 지니고 있다. 상대적으로 영어에 익숙한 서구권 학생들에게도 윤리는 어려운 과목으로 인식되고 있다.
  • Economics: 경제학. 거시경제학은 금융자산의 가격변동에 중요한 요인이 되고, 미시경제학에서 배우는 효용곡선의 경우 각 개별자산의 투자 성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비중은 작지만 실제로 문제를 풀어 보면 생각보다 어렵다는 것이 중론. 2012년부터는 IS/LM 곡선이 추가되어 범위가 더 늘어났다.
  • Quantitative Methods: 속칭 '퀀트'. 기초통계학 및 재무계산기 사용법과 일반적인 금융공학 관련 수학 계산에 익숙해지는 과목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현금흐름을 유효이자율로 할인하는 DCF부터 확률분포까지의 과정을 배우게 된다. 퀀트 역시 실제 시험장에 들어갔을 시 생각보다 어렵다는 평을 받는다.
  • Financial Reporting and Analysis (FRA): 회계학 과목이다. CFA Level 1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사실상 Level 1 응시자들에게는 가장 중요한 과목. 회계를 망치면 Level 1 은 통과가 어렵다. 과목의 순서는 우선 회계와 재무제표 전반에 대한 내용을 학습한 뒤 재무상태표, 손익계산서, 현금흐름표 등의 각론을 배우고, 거기서 더 들어가 고정자산, 법인세, 장기부채, 재고자산과 관련된 회계처리의 방법을 배우게 된다.
    FRA에서 가장 어려운 부분은 IFRS(국제회계기준)과 US-GAAP(미국회계원칙)간의 차이점을 세세하게 알아야 한다는 것이다. 그 이유는 미국이 아직까지 IFRS를 따르지 않고 있기 때문인데[6], 천조국의 기상 미국도 IFRS와 자국 회계기준간의 통합을 진행하고 있으므로 향후에 시험을 치를 수험생들은 조금 더 나아질 것이다.
  • Corporate Finance: 기업재무, Level 1에서 가장 쉬운 과목이라 일컬어진다. 경영학과에서 배우는 기업재무와 같이 자금조달 등에 대한 기업의 경제적 의사결정에 대해 공부하게 된다. 만약 FRA를 열심히 공부하였다면 기업재무는 매우 쉽다. 90% 이상 맞고 들어가야 하는 과목.
  • Portfolio Management: 투자론이라고 볼 수 있다. 마르코비치 포트폴리오 모델을 기준으로 CML, CAL, CAPM 등 포트폴리오 투자 시의 효율적인 자산 배분에 대해 배우게 된다. 또한 펀드에 대한 간접투자 시 일반적으로 알아야 하는 상식도 숙지해야 하는 과목. 원래대로라면 미적분학을 어느 정도 숙지하여야 하는 과목이지만 Level 1 에서는 기초적인 개념만 파악하고 있으면 충분하다.
  • Equity: 말 그대로 '주식'에 관하여 배운다. 다만 주식의 Valuation에 관련된 내용은 적은 편이고[7] 역시 개념적인 부분이 대부분, Level 1에서는 배당성장모형 등 학부 재무관리 수준에서 할 수 있는 계산들만을 숙지할 것을 요구한다. 회계, 채권과 함께 Level 1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과목 중 하나이다.
  • Fixed Income: 채권에 관련된 내용이다. 우선 채권의 종류부터 시작하여 채권의 간단한 Valuation에 대해 배우게 된다. Level 1에서는 채권의 종류와 개념, 일반적인 현금흐름 할인법을 사용한 채권의 가격측정 및 듀레이션을 활용한 채권의 가격변동 측정을 숙지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주식, 회계와 함께 Level 1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열심히 공부해야 하는 과목 중 하나.
  • Derivative Investments: 파생상품 관련 내용이다. 이 과목을 공부하다 보면 우리가 모르는 파생상품이 세상에 굉장히 많다는 것을 알게 된다(...) 하지만 누누이 강조하였듯이 Level 1은 '개념'이 중요하므로, 복잡한 계산을 요구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Level 2로 가는 순간 우리를 피토하게 하는 블랙-숄즈 형님이 등장하신다
  • Alternative Investments: 대안투자/대체투자. 부동산, 상품 투자, 벤처 캐피털 등에 관련된 내용이다.
  • Python: 2024년부터 추가될 예정이다.
 
흔히 주변에서 CFA 한다 CFA 붙었다 라고 하는 건 대부분 Level 1인 경우가 많다.(CFA vs CPA 놀이 하면서 까부는 애들도 대부분 Level 1 정도 하는 애들이 많다.) CFA Level 1은 사실상 맛보기 수준일 뿐이다. Level 2로 가면 CFA가 후달리게 하는 시험이라는 걸 느끼게 되고 Level 3 패스한 사람은... 그냥 주변에서 거의 보기 어려울 정도라도 보면 된다. 2021년을 기점으로 CFA Lv1의 합격률이 굉장히 낮아졌다.
 
 

#Level2

 

 
Level 1에서는 Finance 분야에 대한 다양한 이론들과 다양한 asset class에 대한 기초를 배웠다면, Level 2에서는 그럼 이렇게 다양한 asset class들을 어떻게 Valuation해야 하며 이를 위해 필요한 이론은 무엇인가에 대한 지식을 테스트한다. 상세하게는 Equity, Fixed Income, Derivatives 등의 Valuation 관련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 Ethical and Professional Standards: Level 1과 거의 같으나 Research standard 등 세부 내용이 추가된다.
  • Economics: 환율결정이론, 경제성장이론, 경제규제론 총 3개의 토픽으로 구성되어 있다. 환율결정이론에서는 경제학 교과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Covered Parity, Uncovered Parity, International Fisher condition과 통화&재정 정책이 환율에 미치는 영향을 공부한다.
    (Over Shooting 이론 등등). 경제성장이론에서는 콥스더글러스 함수를 바탕으로 경제성장에 관해 설명한다. 경제규제론에서는 입법부에 의한 규제, 독립적인 규제 등에 대해 다룬다.
  • Quantitative Methods for Valuation: 회귀분석, 시계열 분석, 통계 시뮬레이션 3개의 챕터로 구성되어 있다. 회귀분석에서는 상관관계 분석과 더불어 ANOVA Table의 결과 해석, 회귀분석의 고전적 가정과 이것이 성립되지 않는 현상을 찾고 교정하는 기법에 대해 공부한다.
    시계열 분석에서는 자기회귀(AR)를 기반으로 AR(2), ARCH, GARCH 등을 간단히 배운다. 더 나아가 Random walk process, 시계열의 정상성을 검정하는 Dickey-Fuller Test 등을 가르친다. 비전공자에게는 난해하게 느껴질 수 있으나 포기하지 말자. 2017년 처럼 10%의 출제율을 기록할 때는 전 챕터에서 고루고루 나오니까. 시험에서는 수리적인 내용이 아닌 개념적인 부분의 True or Flase 유형이 자주 출제된다.
  • Financial Reporting and Analysis: Level 1에서는 중급회계 정도까지의 지식을 물어봤다면 Level 2의 회계 과목은 고급회계의 영역에 속한다. (단 하나, 연금 회계는 중급회계의 내용이다.) Equity or Acquisition method 와 같은 연결재무제표와 관련된 이슈, 해외 사업과 관련된 회계법, DB pension에 대한 회계 인식이 주요 챕터이다. 최근 추가된 Earnings Quality 분석 챕터도 무시할 수 없다.(Item set으로 내기 매우 좋은 주제다.) 2016년, 2017년 기준으로 25%의 과목 비중을 기록했다. (성적표 메일에서 총점 360점 중 max 72pts를 기록)
  • Corporate Finance: 자본예산(Captial Budgeting), 자본비용(Capital cost), 배당과 자사주 매입(Dividends & Repurchases), 기업지배구조(Corporate Governance), 기업윤리(Corporate ethics), 인수합병(M&A)를 공부한다.
    자본예산에서는 LEVEL1의 NPV를 기반으로 하여 회계적 이익을 현금흐름에 맞게 조정하여 프로젝트를 분석한다. FRA, EQUITY의 Free cash flow와 많은 부분을 공유하는 부분인 만큼 점수를 먹고 들어가야 하는 챕터이다.
    자본비용은 MM이론을 기반으로 한다. 경영학 전공 과목을 이수했거나 CPA 공부 경험자에겐 매우 쉬울 것이다. 하지만 기업윤리나 기업지배구조는 Ethics같은 매우 애매한 챕터이다. 기업 윤리의 경우 존 롤스의 정의론, 칸트주의, 공리주의 등등 갑자기 사상들이 등장한다.
  • Portfoilo Management: Corporate Finance 처럼 과목 비중에 비해 많은 챕터를 가지고 있는 과목. 2016년에는 Economics와 관련된 내용(금융자산의 기간대체한계효용Inter-temporal marginal utility 의 성격들이 불황과 호황기에 어떻게 반응하는지와 같은 매우 현학적인 챕터다.)이, 급기야 2017년에는 VaR 알고리즘 트레이딩&HFT가 추가되었다.
  • Equity Valuation: 본격적인 주식 관련 Valuation 에 대한 과목. Dividend Discounted Model로부터 시작하여 Discounted Cash Flow Model, Residual Income Model, Relative Valuation 등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Level 2에서 가장 큰 비중(약 30%)을 차지하는 과목..이라지만 최근의 비중은 약 15% 정도.
  • Fixed Income: 이번에는 채권 관련 Valuation. Spot rate curve나 Forward rate curve를 이용한 채권의 pricing으로 시작한다.(이전 버전의 Structured product에 대한 기술은 삭제한다. 이 챕터는 레벨 1으로 옮겨졌다.) Yield Curve관련해서 전통적인 재무학에서 다루던 내용에 더해 금융공학적 컨셉들이 조금 추가되었다. Equilibrium or NO Arbitrage condition에 따른 Vasicek이나 Ho-LEE model, Yield Curve의 PCA를 통한 Level-Steepness-Curvature의 영향도를 Break down하는 내용이 채권의 챕터 1내용이다. 이후 챕터 2,3에서는 앞서 배운 No-Arbitrage Framework를 바탕으로 이항모형을 이용한 Valuation을 공부한다. Straight, Callable, Puttable 채권의 가치를 산출하는 계산에 능숙해야 함은 물론이며(반드시 여러번 계산기를 두드려보아야 한다.이는 파생상품의 이항모형도 마찬가지이다.) OAS와 더불어 채권의 가치가 외부변수들이 변화할 때 채권의 속성에 따라 어떤 영향을 받는지 묻는 문제는 반드시 출제된다고 보아도 좋다. 이에 덧붙여 전환채권, 신용분석(기존의 Scoring이나 등급 책정에 덧붙여 머튼모형을 이용한 신용분석이 추가되었다.),CDS(2016년도 Level2 파생상품에 새로 추가되었다가 2017년 채권과목으로 옮겨졌다.)가 새로 추가된 챕터.
  • Derivative Investments: 파생상품 Futures,Forward의 대표적인 상품군(환선물, 채권선물, 주가지수선물, Fixed rate agreement, IRS,CRS)들을 프라이싱한다.(팁을 주자면 CRS를 연습하면 자연스럽게 IRS에도 익숙해진다.) Derivative라는 말그대로, 미분방정식 관련 프라이싱이 나온다. 고로, 2계 편미방 형태로 이루어져있고, 옵션 가치 평가 수식으로써 매우 중요한 블랙-숄즈 모델이 등장한다. 단, 모델 자체를 모두 이해할 필요는 없고 모델 내 변수의 변동에 따라 옵션 가격이 어떻게 변동하는 지에 대한 개념 정도만 알고 있으면 충분..했으나 모델 내 변수를 측정하는 단위인 델타, 감마를 헷징에 어떻게 활용하는지, 이자율 옵션의 synthetic position으로 FRA나 IRS의 Received or paid position을 구성하는 방법을 배운다. 2017년부터 레벨3의 내용들이 약간 추가되었다. 파생상품을 이용한 투자전략인데, Level1에서 배운 Covered call, Protective put에서 더 나아가 Spread & combination전략들을 공부한다. 흔히들 Level 2에서 가장 난이도가 있는 부분이라고 한다.
  • Alternative Asset Valuation: 크게는 부동산 투자, Private Equity 투자, Commodity 투자로 나뉘어진다. 부동산 투자는 다시 부동산 직접 투자를 위한 Valuation과 REITS와 같은 부동산 간접투자 시 Valuation 방법론으로 나뉘게 된다. Private Equity는 Target Company를 Valuation 하는 방법과 Private equity의 LP와 GP간 보수산정 방법 등에 대해 학습한다. 마지막으로 Commodity는 각 Commodity 별 특성 및 Contango 시장과 Backwardation 시장의 차이 등에 대해 학습한다. 아무래도 학부에서 비교적 많이 접할 수 있는 전통적인 금융투자 상품 Valuation에 비해 생소하다보니 포기하는 수험자들이 많은데 미래 현금흐름을 현재가치로 할인해 Valuation에 한다는 큰 틀은 다른 전통적인 금융상품과 동일하고 계산방법도 Equity에서 학습한 공식을 차용하는 경우가 많으니 포기하지 말고 학습하기 바란다.

 


#Level3

 

 

Level 1,2를 통하여 전반적인 Financial market에 대한 이해를 거쳐 각 asset class에 대한 valuation 지식까지 갖추었다면, Level 3에서는 그럼 실제 고객들 대상으로 어떻게 고객의 needs와 risk profile에 맞는 투자 계획을 만들고 실제 포트폴리오를 어떻게 관리하는지를 테스트한다. Level 3의 오전 세션에서는 주관식 에세이 형 문제가 주어지며 각 문제 별로 대상 고객 (개인/기관)의 현재 상황, 미래 기대 수익률, 위험 요소, 투자 제약 상황 등이 주어지며 이를 토대로 고객의 맞춤형 투자 플랜을 설계하는 IPS (Investment Policy Statement)를 작성하는 것이 오전 에세이 시간의 기본 틀이다. 단, 무작정 IPS를 작성하는게 아니고 문제가 명확히 요구하는 바(예를 들어, 'John의 ㅇㅇㅇ을 향상/감소시키는 요인을 각각 하나씩 파악하고 그 이유를 서술하시오', 'ㅇㅇㅇ의 값을 구하고 계산 과정을 보이시오', 'ㅁㅁㅁ가 ㅇㅇㅇ를 증가시키는지 감소시키는지 판단하고 그 근거를 서술하시오' 등등 물론 문제가 한글로 나오지는 않는다...)에 맞춰 답변을 작성하면 된다. 오전 세션에서는 IPS 관련 부분도 있지만 기타 주제도 다루며 오후 세션은 Level 1,2 와 유사한 객관식으로 구성된다.

(아래 작성된 내용에서 시험문제의 난이도가 언급된 부분은 CFA Institute 홈페이지 모의테스트를 기반으로 한 주관적 견해이며, 객관식 파트에만 적용되니 참고할것.)
  • Ethical and Professional Standards: 기본 범위는 기존과 유사하나 Asset Manager Code of Professional Conduct가 추가된다. 금융회사 차원의 윤리기준이며 내용은 그리 많지 않다. Level 1, 2와 겹치는 부분에 대해서는 전반적으로 문제 난이도가 꽤 까다로워지므로 이전 레벨 공부할 때 윤리파트를 열심히 해 두길 추천.
  • Behavioral Finance: 행동재무학. 인지편향과 감정편향 및 이러한 요소가 재무 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다루며, 전반적 난이도는 무난한 편이나 지문을 읽고 주인공(?)이 나타내는 편향을 파악하는 부분이 헷갈리기 쉽다.
  • Private Wealth Management: 개인 재무 결정의 다양한 분야(상속/증여 관련 조세효율, 투자 분산화, 인적자본의 영향 등)를 다루며 특히 개인 재무관리 계획의 고려요소를 학습한다. 기본 이론 자체는 공부하기에 비교적 어렵지 않으나 시험 문제에서 실제 개인과 개인의 상황을 예시로 드는데 생각보다 까다롭다.
  • Institutional Investors: 연금펀드, 생명보험, 기타보험, 은행 등 다양한 기관투자자들의 투자 목적과 환경, 고려요소들을 다룬다. 역시 평이한 편.
  • Economic Analysis: 경제 전반에 대한 여러 내용을 다루며 주제가 상당히 다양하다. 시장 요구수익률, 경제성장률, 자산별 표준편차 및 상관관계 등을 계산하는 몇가지 간단한 방법을 배우며, 경기 사이클과 통화/재정정책, 국제교역/자본흐름 등을 다룰 뿐 아니라(!) 주식시장 밸류에이션 방법도 몇가지 간단히 배운다. 구체적인 계산 방법들은 레벨 2를 통과했다면 매우 무난한 편이나 레벨2가 헬이니.. 전반적인 맥락과 내용 이해에 방점이 찍혀있는 듯 하다.
  • Asset Allocation: 일단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기 위한 여러 자산배분 접근법을 배운다. 그리고 국제투자를 한다는 맥락에서 통화리스크 관리를 배우는데 이 부분이 은근히 까다로울 수 있다. 해외투자 수익 및 변동성 분석, 캐리트레이드, 헷징 시 고려요소 및 헷징방법 등이 나온다. 역시 레벨 2를 헤쳐나왔다면 적어도 계산이 복잡하게 느껴질 리는 얼마 없으나, 실제 문제 풀 때는 꽤 헷갈릴 요소가 많다.
  • Fixed Income/Equity Portfolio Management: 다양한 채권/주식 투자관리 및 리스크 통제 방법을 배운다. 소극투자와 적극투자의 종류 및 투자방법, 주식투자의 경우 추가적으로 투자 스타일 파악 방법에 대한 내용이 주로 설명되어 있다.
  • Alternative Investments: 부동산 투자, PE/VC, 상품투자, 헤지펀드, Managed futures, 부실증권 투자를 다룬다. 레벨 2 대안투자의 극악한 난이도에 비해 매우 수월한 편으로, 간단한 fee 계산만 제외한다면 계산은 거의 전무한 편이다.
  • Risk Management: 기업 리스크 관리의 여러 고려 요소를 다룬다. VaR가 처음으로 나오는데 간단하게 짚고 넘어간다. 그 외에 기업 재무 관리 시 마주치는 다양한 종류의 위험에 대해 살펴본다.
  • Application of Derivatives: 선물/선도, 옵션, 스왑을 이용하여 포트폴리오의 리스크를 관리하고 exposure를 조정하는 방법 및 계산법을 배운다. 교재에 나오는 계산식이 전반적으로 복잡해 보일 수 있으나 그 중 절반 정도는 동일한 식을 해당파트 저자에 따라 살짝 다르게 표현한 것이므로 익숙해지면 어렵지는 않다. 단, 이자율 옵션 관련 계산식이나 스왑 활용은 까다로운 편이다.
  • Portfolio Trading, Monitoring, and Rebalancing: 주식거래 오더 종류와 목적/거래전술, 주식시장 종류와 특징, 거래비용 계산법, 자산비율 재조정 전략 등에 대해 배운다.
  • Performance Evaluation: 수익률 계산 방법, 초과수익률 계산을 위한 벤치마크 선정 기준, 수익률 발생 출처파악, 자산관리사의 초과수익 창출능력 판별법 등을 다룬다. 수익률 출처파악(performance attribution)의 계산식이 꽤 복잡한 편.
  • GIPS: Level 3에서 새롭게 등장하는 과목. 일부 펀드들이 수익률을 높게 보이게 하기 위하여 자의적으로 해석한 펀드 수익률을 발표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하여 비교가능하며 적확한 펀드 수익률을 측정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지식을 테스트하는 과목이다. 어느정도 상식을 동원할 수 있었던 윤리파트와는 달리 이 부문은 외워야 하는 내용 투성이이다...
전반적으로 레벨 3답게 폭 넓은 분야를 대상으로 한다. 한국인의 레벨3 체감 난이도는 에세이에 대한 공포감 등으로 인해 원어민에 비해 더 높게 느껴질 수 있으며, 실제로도 레벨3에서만 3수 4수 하는 사람도 흔히 있다. 실제로 시험장 들어가면 한국어도 영어도 떠오르지 않는다. 문제로 나오는 지문은 너무 길고 지문 읽다가 문제 까먹고 답쓰다가 무슨 답 쓰는지 까먹고 하다가 멘붕속에 마무리.-나무위키

 

 


 

Chartered Financial Analyst: CFA / 국제재무분석사

공인회계사를 나타내는 CPA는 Certified Public Accountant(공인)이지만 CFA의 C는 Chartered(협회 등재)이다. 그래서 CFA 레벨 1, 2, 3를 모두 합격한 후 경력을 인증받아 자격증을 보유한 사람은 Charterholder라고 하며 공인자격증이 아닌 민간 자격증이다.

 


 

어제 모임에서, 이렇게 취득하기 어렵다는 CFA를 2명이나 만났다.

수많은 시간과 비용과의 싸움인데...

 

민간 자격증인데, 왜 그렇게 획득하려 하는것인가?!

 

업무에 꼭 무조건 필요한 것인가??!!

 

그러한 자격증이 몇개나 있던가?!

 

 


#부러우면지는거다

#하지만

#부러워서 찾아본다

 

반응형